‘IP 기반 R&D 혁신 정책협의회’ 개최
[인더스트리뉴스 박규찬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특허청은 최근 특허청 사울사무소에서 ‘지식재산(IP) 기반 R&D 혁신 정책협의회’를 개최해 혁신성장동력 분야를 중심으로 과학기술 분야 R&D·지식재산 경쟁력 강화 및 대학·공공연의 특허 관리체계 혁신 등을 위한 협력 체계를 만들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번 정책 협의회는 기술이 급변하는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기초연구 단계에서부터 IP 정책을 유기적으로 연계해 R&D의 효과성을 제고할 필요성이 증대됨에 따라 개최됐다. 아울러 국가 과학기술 혁신과 산업 발전에 있어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양 기관의 전문성과 강점을 살린 효율적 협업 체계를 구축한다는데 의미가 있다.
양 기관은 이날 협의회를 통해 기획-R&D-평가-성과관리의 R&D 전 단계에 걸쳐 정부 R&D의 특허 창출·활용을 확대하고 과기정통부 R&D 사업과 특허청의 IP-R&D 사업간 연계를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특허청은 최근 과학기술 분야 R&D·지식재산 경쟁력 강화 및 대학·공공연의 특허 관리체계 혁신 등을 위한 협력 체계를 만들기로 했다고 밝혔다. [사진=dreamstime]](/news/photo/201807/24996_15968_718.jpg)
과기정통부의 혁신성장동력 신규분야 발굴 사업에 특허청이 참여해 단계별로 특허분석을 지원하고 R&D 예타 대상사업 및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 등에 대한 특허분석을 과기정통부와 특허청이 공동으로 추진함은 물론 특허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원천·핵심 특허 확보가 가능한 공백기술을 도출하고 연구개발 방향을 제시하는 과제별 IP-R&D 지원을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과기정통부는 올해 연 50억원 이상의 혁신성장동력 사업단(조기상용화 목표)을 대상으로 특허전담관(CPO) 제도를 우선 도입하고 2019년에는 CPO 도입 사업단에 대한 특허청의 특허성과 분석 결과를 검토해 혁신성장동력 전 분야로 CPO 제도를 확대할 방침이다.
또한 대학·공공연이 우수한 기술만을 선별해 출원하도록 R&D 사업·과제·기관 평가시 양적 특허성과 지표 사용을 줄이고 특허기술의 경제적 성과에 대한 평가를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
한편 과기정통부와 특허청은 대학·공공연이 고부가가치의 경쟁력 있는 특허를 창출할 수 있도록 특허 관리체계 혁신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후속 실무협의를 거쳐 대학·공공연의 특허 성과지표를 경제적 성과중심으로 전환하고 특허비용 등 직접비용을 먼저 공제한 후 기술이전 수입을 분배하도록 기술료 분배규정을 개정한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특허 소유권과 관련해 대학·공공연이 특허의 출원 또는 등록․유지를 포기한 경우 발명자가 이에 대한 권리를 무상양도 받을 수 있도록 ‘발명진흥법’ 등을 개정하는 방안도 검토키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