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조창현 기자] 우리 정부가 G7 회원국들과 함께 공급망 회복력 강화를 위한 방안을 논의하는 자리가 최근 마련됐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안덕근, 이하 산업부) 노건기 통상교섭실장이 이탈리아 레지오 칼라브리아에서 개최되는 G7 통상장관회의 아웃리치 세션에 정부 수석대표로 참석했다고 16일 밝혔다.

올해 아웃리치 세션에는 미국·일본·캐나다·영국·프랑스·독일·이탈리아·EU 등 G7 회원국과 우리나라를 포함해 브라질·뉴질랜드·튀르키예·베트남·인도 같은 초청국이 참석했다. 또 WTO 및 OECD 같은 국제기구와 더불어 G7 국가 내 경제단체 협의회 대표들이 모인 B7도 자리했다.
세션 참석자들은 ‘공급망 회복력 강화(strengthening the resilience of supply chain)’와 관련된 방안을 의논했다. 산업부 노건기 통상교섭실장은 “‘저비용·고효율 원칙’이 최우선으로 고려되던 과거와 달리 최근에는 글로벌 공급망에 변혁이 일어나고 있다”며, “회복력 있고 안정적인 공급망 구축을 위해서는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와 협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노건기 통상교섭실장은 한국이 인도태평양경제프레임워크(IPEF)와 핵심광물안보파트너십(MSP, Minerals Security Partnership) 같은 다자 협력 및 아프리카, 중남미 등 국가와 양자 협력도 추진 중이라고 설명했다. 또 오는 2030년까지 흑연이나 요소 같은 공급망 안정 품목 185개와 관련해 특정국 의존도를 50% 이하로 낮추기 위한 산업공급망3050전략, 조기경보시스템(Early Warning System) 구축 등 국내 정책도 소개했다.
한편 노건기 실장은 세션 참석을 계기로 WTO 응고지 오콘조-이웰라 사무총장과 면담을 통해 제13차 WTO 각료회의(MC-13) 후속 성과 도출 방안과 관련된 의견을 교환했다. 또 우리나라 통상 인재가 WTO 인턴십에 참여하는 것에 대해 응고지 오콘조-이웰라 사무총장이 관심을 가져줄 것을 요청했다.
아울러 노 실장은 올해 G20 의장국인 브라질 정부 대표와 한-브라질 무역투자촉진프레임워크(TIPF, Trade and Investment Promotion Framework) 이행, 2025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의장국 준비 등 양·다자 차원 협력 강화 방안도 논의했다.